한국어
알려주세요 배낚시

안녕하십니까?


저는 갈치낚시 초보입니다.


얼마전에 직구로 비마4000을 구햇읍니다.


그런데 배 전원을 바로 이용하면 전동릴 수명에 지장이 많다고 하네요.


전용밧데리 알아보니 삼십만원 전후로 하네요.


그래서 오토바이 밧데리 알아보니 부피는 크지만 가격이 착하네요.


전동릴에 일반 오토바이 밧데리 가능할까요?


그리고 낚시 끝날때 까지 밧데리 잔량이 남아 있을까요?



Comment '7'
  • ?
    뉴에이 2014.10.04 10:09

    저도 예전엔 오토바이 밧데리 가지고 다녔는데. 지금은 무거워서 그냥 배전원사용합니다.

    우럭낚시하시기엔 남구요 갈치낚시는 모자릅니다. 수명은 대략 1년정도라고 보시면 될꺼구요, 1년 지나면서부터는 우럭낚시 하루하기도 좀 빡셉니다.

    밧데리 전원 단자에 전동릴 선 연결할때 그냥 그대로 집게로 단자를 집으시면 몇번 못쓰고 단자가 끊어집니다.

    단자가 약해서 몇번 구부렸다 폈다하면 금방 끊어집니다.

    그래서 별도의 전선을 단자에 연결하고, 그 전선에 전동릴 집게를 물리는 식으로 사용해야되구요.

     

    또하나 염분에 노출되면 마찬가지로 단자가 금방 부식되서 못쓰게되니 단자부위를 에폭시 같은걸로 완전히 쳐발라서 밀폐시켜야 합니다.

    그렇게 하면 그럭저럭 오래오래 쓸 수 있습니다.

    배전원 불안정해서 전동릴이 고장난다는 얘기는 글쎄요.

    저도 전동릴 사고 난 후 그때문에 초창기엔 오토바이 밧데리를 사서 가지고 다녔었는데요, 제가 3000H 사서 10년 전부터 쓰고 있는데 5년 동안은 밧데리 사용, 이후 5년은 그냥 배전원 사용하고 있는데 단 한번도 고장난적 없습니다.

    지금도 새거처럼 멀쩡히 잘 돌아가구요. 간혹 옆자리 사람이 시보그 500MT 사용하면 제 전원부족하다는 메세지가 뜨긴하는데, 그래도 고장은 안납니다.

    제 생각엔 배 전원 그냥 쓰셔도 되구요. 중요한건 전원보다는 낚시할때 그리고 낚시 다녀와서의 사후 관리가 문제라고 생각되네요.

    빈채비 올릴때 또는 고기 올릴때, 또는 밑걸림 끊어낼때 너무 무리하게 스피드 레버를 작동시키지 않으면 되구요,

     

    또하나 이건 예전에 카파(이찬영)님께 배운건데, 스타드랙은 항상 꽉 조여주세요.

    우리가 스타드랙 조절해가면서 고기 잡을일은 없으니까 굳이 풀어놓을 필요없습니다.

    스타드랙을 꽉 조여주면 그 부위로 바닷물이 들어가서 부식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낚시 갔다와서 씻을때도 풀면 안되구요, 그냥 항상 조여두신채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씻을때 퐁퐁+수세미로 닦으신 후 물로 샤워시키면서 핸들을 좀 돌려주세요.

    특히 핸들 반대편 쪽에 염분끼어있는걸 물로 샤워시키면서 빼내야 합니다. 이렇게 관리하시면 10년동안 아무 고장없이 사용가능합니다.

  • profile
    카파(이찬영) 2014.10.04 11:11
    뉴에이님 말씀이 맞습니다.
    갈치낚시의 경우는 신조선이 많아 전원문제가 되는배는 별로없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아주 오래된 배가 아니면 크게 문제 될 것 없다고 봅니다.
    갈치낚시의 경우는 전용베터리 기준으로 8800(8.8A/16.8V) 이상을 사용 해야 합니다.
    오토바이 베터리 그정도 용량이면 너무 무거워 힘드실 것 같군요..
  • ?

    %B4%D9%C0̿%CD_%C0%FC%B5%BF%B8%B1.jpg



    %C0%B1%BC%BA_%C0%FC%B5%BF%B8%B1.jpg

    위는 "다이와  전동릴 취급 설명서" 중에서

    아래는 "윤성(시마노 공식 수입) 홈 페이지 전동릴 편" 중에서



    예전엔 오토바이 배터리를 많이 썼는데, 요즘엔 갈칫배 전원이 좋아서인지 덜 보입니다.

    납 배터리가 무겁기만 하고 용량이 적은 탓도 있겠지만...


    신품 전동릴을 파는 입장에서 말씀드리죠.

    윤성이나 다이와의 A/S 담당자들이  " 한 두푼 하는 것도 아닌데 꼭 개인 배터리 사용의 필요성을

    알려주세요" 합니다.


    하지만 그간의 경험으로 보면 "고장난 전동릴-전기 장치의 작동-"을 보는게 걸어가다 새똥 맞을 확률보다도

    적은 것 같습니다. 이처럼 쉽게 고장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어부지리에는간간히 고장 소식이  올라옵니다.

    전동릴이 고장나면 배터리값 저리가라 입니다.  그래서 저는 가급적 배터리를 갖출 것을 권장합니다.

    최근엔 전동릴 가격이 비싼 것이 대부분이니 더욱 그 필요성이 생긴다고 봅니다.


    참고로 윤성(시마노 수입)과 다이와의 관련 홍보 내용을 첨부합니다.

  • ?
    죽조사 2014.10.04 19:18

    이런 질문 올라 올 때마다 오토바이 배터리 추천 하는 사람은 저 뿐 같네요 ^^


    배전원에 불신이 없고 신조선이다-> 배전원 사용.
    일년에 10회 미만 출조 -> 오토바이 배터리 사용
    출조 횟수가 많음 -> 전용 배터리 사용.

    12V 9Ah 볼크원 배터리 배송료 포함 2만원 무게 2.6kg(7Ah와 동일 크기)
    동일 용량 리튬배터리 20만원 이상. 무게 1kg
    오토바이 배터리도 2년 정도 까진 용량 걱정 하실 필요 없습니다..

    2년 뒤 또 사면 되요. 어차피 리튬 배터리도 5년 넘게 쓰기 힘든거 생각하면

    가격대비 훌륭하죠. 단점은 아시다 시피 무겁다는 거죠.

    간혹 12V 와 14.8V 차이로 출력이 약해 전동릴 100% 출력 못낸다는 분도 있는데

    비마 4000은 오토바이 배터리 써도 멈추는 일 없어요.

    하루 사용량은 비마4000이면 9Ah면 충분합니다.

    진짜 안되도 한두시간 배전원 써야 할 정도일겁니다.
    제가 쓰는게 비마 4000인데. 제경험상 70L 쿨러 채울때도 잔량은 남았네요.

    7Ah는 약간 부족할때가 있습니다.

    자주다니시면 좀 비싼 배터리 구입. 아니라면 배전원 or 오토바이 배터리 중 고르시면 되겠네요.

    근데 다이와 대용량 릴은 9Ah로 안될겁니다.


    자주 출조 안하는 사람이라면 제일 돈 아까운게 고가의 배터리 라는게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 ?
    잘보자님 2014.10.05 12:01

    답변글 남겨주신 선배조사님 감사 드립니다.

  • ?
    밀크시슬 2014.10.07 16:18
    지금까지 전용 배터리(6000mah) 사용하다 이번에 우연한 기회에 오토바이 밧데리를 사용해 봤습니다.
    크기나 사이즈가 전용 베터리와 크게 차이가 없어서 사용상 불편한점 모르겠더군요.
    제가 다이와 매그맥스 5000 사용하는데 전용베터리는 6000mah에서는 순간 전압때문에 사용이 불가한데
    오토바이 밧데리는 그런 현상없이 잘 사용했습니다.
  • ?
    잘보자님 2014.10.10 16:56

    답변감사드립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3298 [조행후기] 10월~11월, 오동통 물오른 '갈치 연줄로 줄태워 제대로 훅킹시키기' 방법 제안 65 2014.10.05 12373
3297 [낚시일반] 쭈꾸미 낚시 잘 하는 초간단 방법 24 2014.10.05 20108
3296 [장비관련] 전동릴 침수 3 2014.10.04 3536
» [장비관련] 전동릴에 오토바이 밧데리 가능한가요? 7 2014.10.04 8042
3294 [낚시일반] 아래 산란시기와 채비운용에 관한글을 보며 1 2014.10.03 2868
3293 [낚시일반] 갈치산란시기 및 채비운용 3 2014.10.02 7549
3292 [낚시일반] 갈치바늘 3 2014.10.01 5930
3291 [출조문의/개인조황공유] 기상 고수님 질문 드립니다 10월 3일 갈치낚시 6 2014.10.01 3093
3290 [낚시일반] 보증서의 의미 2 file 2014.09.29 2175
3289 [장비관련] 라이트지깅대 추천 부탁드려요 4 2014.09.29 11428
3288 [기타어종낚시] 슬로우 지깅이 궁금합니다 8 2014.09.25 3516
3287 [장비관련] 삼우 빅케치 13 2014.09.23 4411
3286 [장비관련] 시마노 전동릴 낙낙기능 문의 드립니다. 3 2014.09.22 6320
3285 [장비관련] 아부 오라 인쇼어 질문있읍니다. 4 2014.09.21 2446
3284 [장비관련] 시마노 뉴 BM3000 전동릴 문의드림니다 6 2014.09.19 4065
3283 [장비관련] 전동릴 라인셋팅법 8 2014.09.16 6596
3282 [낚시일반] 참치냉동고에 우럭을 보관하면 ... 7 2014.09.15 6864
3281 [루어관련] 뜬 구름잡는 용어를 알려주세요 3 2014.09.15 3685
3280 [조행후기] 우리 마쵸들의 바다아뜨리에.. 인천 앞바다의 다운삿 이야기 24 2014.09.14 6757
3279 [낚시일반] 가을 진객(眞客) : 주꾸미 10 file 2014.09.12 5172
3278 [낚시일반] 갈치 낚시 기등줄 부드러운 경심줄 파는곳좀 알려주세요 3 2014.09.11 6872
3277 [낚시일반] 우럭채비 문의 3 2014.09.04 3968
3276 [기타] 중추가절을 맞이하여 조우 여러분 행복하시고 건강하시길... 32 file 2014.09.03 4360
3275 [낚시일반] 동해 대구 지깅낚시법이 궁금합니다. 4 2014.09.03 7462
3274 [조행후기] 왕초짜 [타조] - 갈치 다녀왔습니다. 11 file 2014.09.02 11466
3273 [장비관련] 갈치낚시 합사냐 경심줄이냐 그것이 고민입니다 6 2014.09.01 12075
3272 [장비관련] 줄풀기시 엄지로 살작 대고 풀지 않을 수 없을까요? 3 2014.09.01 4687
3271 [출조문의/개인조황공유] 대천항 주꾸미배 3 2014.08.31 4483
3270 [장비관련] 선상받침대 조임너트 9 2014.08.28 3762
3269 [기타어종낚시] 장어낚시 하는 곳 아시는분.. 7 2014.08.26 647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149 Next
/ 149